본문 바로가기
IT 이야기/IT 이슈

위성인터넷 / 스페이스X - 스타링크

by 쎄링 2023. 2. 23.

개요

이동통신의 발전은 10년 단위로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음성, 문자, 데이터, 동영상 등이 합쳐지고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과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2030년에는 지상과 위성이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이동통신망이 구축될 거라 예상되다.

 

위성인터넷

지상의 이동통신은 경쟁이 넘쳐나지만 우주로 눈을 돌리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 현재 스페이스 X와 아마존 등의 글로벌 기업이 우주에 수많은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고 있다. 우주에는 현재 주인이 없기 때문에 이를 선점하기 위한 차세대 통신 업계들이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이점에서 주목할 것은 바로 지상의 이동통신망의 한계를 넘는다는 것이다. 현재는 도서, 산간 지역, 바다와 같은 공간도 네트워크로 연결된다는 뜻이다.

 

스페이스 X - 스타링크

그럼 위성인터넷중 스페이스 X의 스타링크를 살펴보도록 한다.

스타링크는 기존 인터넷망과 수중 광케이블의 단점을 보안하고, 유선 인터넷과 무선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상한 위성인터넷 사업 중 하나이다. 2020년 말까지 4만 2천여 개의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여 초고속 위성 인터넷을 서비스하는 게 목표라고 한다.

기존 위성통신망의 경우 일반 이동통신망에 비해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다. 위성통신망을 사용하기 위한 장비, 비용, 느린 속도, 지연시간 등등 단점이 많은 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무선 인터넷 속도가 빠르며, 지연시간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구석구석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고, 대부분 휴대폰 통신이 안 되는 곳이 드믈지만,  높은 산이나 골짜기에 가면 휴대폰 통신이 먹통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처럼 유무선 통신이 발달된 우리나라도 이 모양인데, 미국, 중국과 같은 큰 대륙에는 두말할 것도 없다.

 

방식

그래서 스타링크는 새로운 방식의 인터넷을 제공하고자 한다.

1. 지구의 땅은 넑고 통신이 안 되는 모든 지역에 땅을 파서 선을 넣는 방식은 어려우니, 우주로 위성을 올린다.

 

2. 기존의 위성은 너무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신호가 약하고, 지연시간도 길고, 안테나가 큰 만큼 크기 때문에 비싼 비용이 든다.

 

3. 그래서, 저궤도에 위성을 올린다. 궤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지연 시간도 짧아지고, 안테나도 작게 만들고 저렴해지고,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위성이 커버하는 구역은 좁아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위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쏘아 올린 인공위성 수 보다 많은 수의 위성을 쏘아 올려 위성인터넷을 구축하겠다는 스페이스 X의 거대한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벌써 궤도에 위치하고 있는 위성 수가 단일 민간 기업이 운영해 온 위성 수 보다 훨씬 많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 펠컨 9로 한 번에 60개의 위성을 발사해 배치하고 있으며, 나중에는 스페이스 X에서 개발 중인 스타쉽을 통해 한번에 400대를 올려놓는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한다.

스페이스 X는 현재 세계 수십여 국에서 순차적으로 스타링크 베타 테스트를 개시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지원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지상 인터넷 서비스와 휴대전화 통신망이 파괴되었는데, 일론머스크는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접시형 안테나 및 라우터 2만 세트를 우크라이나로 보냈고, 스타링크는 우크라이나의 파괴된 핵심 서비스를 재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외 제공 지역

스타링크는 현재 40개국에 서비스 중이다. 북미. 유럽 지역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스타링크는 일반 인터넷에 비해 저렴하지 않다. 위성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접시형 안테나 및 라우터 비용은 599달러(약 85만 원)이며, 월 사용료는 110달러(약 15만 원)이라도 한다. 현재까지 가입자는 70만 명이라고 한다. 이 정도 비용이면 대한민국에서는 스타링크 사용이 쉽지 않을 것 같다. 2023년에는 아프리카. 남미 및 아시아 지역까지 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한다.

 

저궤도 위성을 사용하는 업체는 스페이스 X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아마존은 카이퍼 위성 수천 기를 저궤도에 올릴 계획이며, 원웹은 이미 저궤도에 위성을 배치했다. 수많은 저궤도 위성은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혹시나, 위성이 파괴되어 그 파편이 고속으로 이동하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중국의 우주정거장과 스페이스 X의 위성이 충돌할 뻔 한 사고도 있었다. 

 

댓글